본문 바로가기
게임이야기/붕괴:스타레일 캐릭터

붕괴:스타레일과 삼국지 - 음월의 죗값, 단항의 여정

by smilecococat 2025. 7. 7.

전생의 죄와 현재의 책임을 짊어진 자

《붕괴: 스타레일》의 등장인물 단항은, 표면적으로는 은하열차의 무명객 중 한 명이지만, 그 내면에는 전생의 죄를 짊어진 중대한 운명이 담겨 있다. 단항의 본래 모습은 나부 비디아다라족의 전임 용존이었던 **음월군(단풍)**이며, 전우를 살리기 위해 금기를 어긴 죄로 환생이라는 형벌을 받았다. 그는 환생 후에도 불완전한 힘을 지닌 채 유폐옥에서 성장했고, 다시금 ‘나부’로 돌아와 과거와 마주하면서,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묻는다. 본 글에서는 음월의 과거와 단항의 현재를 연결해, 전쟁과 죄, 용서와 성장이라는 서사를 따라가고, 그에 어울리는 삼국지 인물도 함께 비교한다.

붕괴:스타레일 - 음월
기습평궁평

 

 

전생, 음월군의 대역죄와 단항의 환생

단항의 전생은 나부의 전임 용존 ‘단풍’이며, 실제 이름은 음월군이다. 그는 백주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나머지 금기인 ‘화룡묘법’을 사용하여 죽은 이를 되살리려 했고, 이는 풍요의 사도와 관련된 금기를 어긴 중대한 대역죄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단풍은 환생이라는 형벌을 받아 ‘단항’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러나 장로들은 일부러 힘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불완전한 힘을 지닌 상태로 환생시키며 감시하기 위해 유폐옥에 가두어둔다. 이 설정은 단항의 현재와 과거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이후 전개에 큰 복선을 제공한다.

 

과거의 그림자, 현재의 나부로 복귀

단항은 환생 이후 여러 세계를 떠돌다, 자신을 끝없이 추격하는 블레이드를 피해 은하열차에 몸을 의탁한다. 블레이드는 사실 단항과 가장 가까운 전우였지만, 단항의 죄와 함께 불사의 저주를 받은 채 복수를 위해 그를 추적해 왔다. 나부로 다시 돌아온 단항은 자신이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여전히 "나는 단항이지, 음월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불멸의 거목 사건이 터지면서, 경원의 요청에 의해 결국 봉인된 음월의 힘을 다시 사용하고, 자신이 과거의 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현실과 마주한다. 단항이 팬틸리아와의 전투에서 음월의 힘으로 경원을 구해내는 장면은, ‘죄의 힘’을 공공의 선을 위해 사용하는 극적인 반전이자 성장의 전환점이다.

 

백로와의 협력, 용존 승계와 내적 성장

나부로 복귀한 단항은 비디아다라족의 현임 용존 ‘백로’와 만나게 된다. 백로는 전임 용존 단풍의 추천으로 그 자리에 오른 존재로, 무력은 약하지만 치유 권능을 가진 존재다. 단항은 처음엔 백로를 만나지 않으려 했지만, 고민 끝에 백로와 함께 불멸의 거목 봉인을 성공적으로 복구하고, 백로에게 ‘넌 이미 진짜 용존’이라는 인정을 건넨다. 두 사람은 과거와 현재, 힘과 치유, 죄와 용서를 상징하는 존재로서 나부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는 관계로 발전한다. 백로에게 있어 단항은 스승 같고, 단항에게 백로는 과거를 청산하는 거울이 된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연합이 아닌, 상호 이해에 기반한 서사적 동반자 관계다.

 

‘구름 위 5전사’와 죄업의 고백

단항은 과거 ‘구름 위 5전사’로서 경류, 응성(블레이드), 백주, 경원과 함께 나부의 전설적인 전력이었지만, 백주의 죽음 이후 모든 것이 무너졌다. 단항은 죽은 백주를 살리기 위해 금기를 범했고, 응성은 풍요의 피와 살에 손을 대 불사의 존재가 되었으며, 경류는 마각에 빠져 동료들을 살육했다. 이들 셋은 각자의 방식으로 죄를 짊어진 존재가 되었고, 그 중 유일하게 과거를 지켜본 경원만이 남아 죗값을 물을 수 있었다. 이 회상 장면은 단항의 죄에 대한 자각과 책임감을 새삼 각인시키며, 그가 앞으로 어떤 길을 가야 할지를 암시한다. 그리고 단항은 이 죗값을 “누가 대신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직접 감당해야 한다”고 결심한다.\

 

유사 인물: 삼국지의 ‘관우’

단항의 성격과 서사는 삼국지의 관우(關羽)와 유사성을 지닌다. 관우는 정의와 의리를 중시하며, 전투력뿐 아니라 도덕적 책임을 중시한 인물로 묘사된다. 단항 또한 전생의 죄로부터 도망치지 않고, 그 책임을 짊어지려는 태도에서 관우와 닮은 점이 많다. 또한 관우가 조조와 유비 사이에서 갈등하고, 명분을 위해 자결을 택한 것처럼, 단항도 자신의 존재가 나부에 갈등을 유발함을 인지하며 끝까지 책임을 지려 한다. 특히 ‘자신이 누구인지’를 끊임없이 되묻는 존재라는 점에서, 단항은 힘과 명분 사이에서 갈등한 관우의 현대적 재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