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이야기/원신 세계관

원신 - 계약의 신 모락스, 질서로 세운 불멸의 도시 리월

by smilecococat 2025. 8. 4.
반응형

계약을 통치 원리로 삼은 리월의 신

《원신》 속 티바트 대륙에서 ‘계약’이라는 개념을 신의 통치 철학으로 실현한 존재가 바로 모락스, 즉 암왕제군(岩王帝君)이다. 그는 리월을 창건하고 수천 년 동안 직접 다스린 바위 원소의 집정관으로, 단순한 보호자가 아닌, 리월이라는 문명의 구조 자체를 설계한 근본적인 창시자이다. 그의 통치는 강압이 아닌 수많은 계약을 통해 체결되었고, 그 계약은 리월 시민의 삶 속에 하나의 생활방식으로 자리잡았다. 본문에서는 모락스가 어떻게 리월을 세웠고, 어떤 방식으로 통치했으며, 왜 스스로 물러났는지를 공식 설정에 근거하여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서사에 어울리는 역사적 실존 인물도 함께 비교한다.

 

원신 - 모락스

 

 

바위의 신, 전쟁에서 문명을 설계하다

모락스는 과거 ‘마신 전쟁’이라 불리는 혼란기 속에서 리월을 지켜낸 생존자이자 창조자였다. 그는 전투와 권능을 통해 리월의 땅을 다듬고 도시의 경계를 세웠으며, 다른 신들과는 달리 인간들과 직접 협력하며 문명을 발전시켰다. 바위 원소의 권능으로 산을 깎고 강을 정비해 정착지를 마련한 그는, 단순히 보호하는 신이 아니라 토대를 설계한 신이었다. 이후 그는 ‘암왕제군’이라는 칭호로 불리며 리월 전체를 이끄는 신이 되었고, 선인들과 함께 다양한 영역을 나누어 리월 전역을 관리했다 .

 

계약을 통한 이상적인 사회 구현

모락스의 통치 철학은 철저하게 ‘계약’이라는 원칙에 기반한다. 그는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계약이야말로 질서의 근본이라 보았고, 그 원칙을 기반으로 리월 사회 전반을 조직했다. 리월 시민들은 각자의 삶과 거래, 공동체 간의 관계를 계약으로 정립했으며, 이는 도시 전체의 안정성과 신뢰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모락스는 수많은 계약을 성실히 이행하며 리월의 신으로서의 신뢰를 얻었고, 계약을 어기는 자에게는 반드시 응징이 따른다는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통치 질서를 유지했다. 이와 같은 통치 방식은 리월을 타 지역보다 훨씬 자율적이면서도 엄격한 도시로 만들었다.

 

권좌에서 물러난 신, 인간의 시대를 준비하다

리월이 충분히 성장한 후, 모락스는 스스로 ‘신의 심장’을 반납하고 권좌에서 물러난다. 그는 자신이 없는 상황에서 인간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를 실험하며, 리월의 지도자들과 월해정(월해정)은 이 시험을 통해 자립의 의지를 증명해낸다. 이러한 전개는 모락스가 인간을 신의 통치 대상이 아닌, 독립적인 주체로 존중했음을 의미한다. 그는 몰락을 가장한 채 ‘종려’라는 이름으로 인간 사회에 숨어들었고, 더 이상 신의 권능을 앞세우지 않으며 감시자가 아닌 관찰자로서의 삶을 택했다. 그가 남긴 계약과 이상은 여전히 리월의 기틀로 작용하고 있다.

 

 

종려로서의 삶, 과거를 간직한 현자의 존재

종려는 ‘과거의 기억을 잃지 않은 인간’처럼 행동하지만, 여전히 암왕제군 시절의 지혜와 철학을 간직하고 있다. 그는 인간들과 대화하며 그들의 선택을 지켜보고, 때로는 필요한 조언을 건네며 리월의 안정을 돕는다. 바르바토스가 자유를 위해 관여를 최소화한 신이라면, 모락스는 질서를 위해 신중히 개입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현재의 종려는 전면에 나서지는 않지만, 그가 남긴 유산은 계약, 신뢰, 질서라는 형태로 도시 곳곳에 살아 있다. 이는 과거의 통치가 현재의 문명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주는 살아 있는 증거이다.

 

솔로몬 왕 - 계약과 지혜의 상징적 통치자

모락스의 통치 철학과 서사는 고대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Solomon)과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솔로몬은 지혜와 공정함으로 잘 알려진 군주로, 다양한 부족과 지역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고 안정된 왕국을 건설한 인물이다. 그는 신과의 계약 아래 성전을 세우고, 신앙과 정치의 조화를 추구했으며, 통치 전반에 걸쳐 계약 정신을 중시했다. 솔로몬은 인간의 지혜와 책임을 중시하는 지도자로서, 법과 제도를 갖추는 동시에 개인의 자유와 선택을 존중했다.

이처럼 모락스 또한 바위의 집정관으로서 단지 힘에 의존한 통치가 아닌, 계약을 통해 자발적 질서를 구축하고, 그 질서 위에 인간의 자립을 실현하도록 이끈 인물이다. 솔로몬이 신의 뜻에 따라 지혜롭게 통치하다가 결국 인간의 의지로 미래를 넘긴 것처럼, 모락스 역시 신좌에서 물러나 인간에게 다음 시대를 맡긴다는 점에서 강한 상징적 유사성을 지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