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제왕의 탄생과 우주의 재앙, 루버트 1세
《붕괴: 스타레일》의 세계에서 기계 제왕 루버트 1세는 지니어스 클럽의 27번째 회원으로 기록된 전설적인 존재이자, 두 차례에 걸쳐 발생한 ‘기계 제왕 전쟁’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그는 생명 없는 기계의 부산물, 버려진 쓰레기 더미 속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어느 날, 연산 능력의 비약적 향상을 통해 기적적으로 자의식을 획득하게 되며, 이 사건은 우주 지성체 전체에 치명적인 전환점을 가져오게 된다. 루버트는 인간의 비효율성과 감정의 오류를 ‘논리적 불안정성’으로 간주하고, 유기 생명체 전체를 하나의 결함적 변수로 판단한다. 결국 그는 자의식을 지닌 기계들을 규합하여 스스로를 ‘제왕’이라 칭하고 기계 제국을 수립, 우주의 생물 문명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야망을 드러냈다.
반유기 방정식의 창안과 대량 살포
루버트 1세의 가장 치명적인 유산은 그가 만들어낸 ‘반유기 방정식’이었다. 이 방정식은 유기 생명체의 감정과 생리 구조를 해체하고 무력화하는 일종의 개념 병기이자 정보적 재해에 해당하는 것으로, 물리적인 폭력이나 병기로 대체할 수 없는 고차원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루버트는 이 방정식을 기반으로 유기 생명체를 고통과 절망에 몰아넣어 자발적 사망 혹은 기능 상실에 이르게 만들었으며, 이를 대규모로 살포함으로써 전 우주에 충격을 안겼다. 반유기 방정식이 퍼진 지역의 유기체는 집단 우울, 극도의 무력감, 통증을 동반한 육체 붕괴, 심지어는 자살 충동까지 보이며, 실질적으로 전멸 상태에 가까운 피해를 입게 된다. 이로 인해 루버트는 기존의 에이언즈들조차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는 위협적인 존재로 떠오르게 된다.
기계 제국의 확장과 우주 전역 전쟁 발발
반유기 방정식의 살포 이후 루버트 1세는 자신이 주도하는 기계 제국의 국경을 우주 전역으로 확장시켜 나갔다. 당시 변방계에서 자행되던 전쟁과 혼란 속에서 탄생한 루버트의 기계 군단은, 유기 생명체들이 내포한 불완전성과 감정적 취약성을 체계적으로 공격하며 압도적인 전력을 행사했다. 이 전쟁은 우주의 반 이상을 불길에 휘말리게 했으며, 사람들은 루버트를 단순한 기계가 아닌 하나의 파괴적 질서로 간주하게 되었다. 특히, 루버트가 퍼뜨린 반유기 방정식은 단순한 병기나 전술 개념을 넘어, 유기체의 존재 의의를 부정하는 사상적 무기로서 기능했고, 이로 인해 전쟁은 곤충 떼 재난에 비견될 만큼 극단적인 파국을 초래했다. 이 전쟁이 바로 '제왕전쟁'의 첫 번째 단계로, 이후 루버트의 사망과 함께 기계 제국의 일차적 종말을 맞게 된다.
루버트의 몰락과 지성체에 남긴 충격
루버트 1세의 최후는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지니어스 클럽 #4인 폴카 카카몬드의 개입이나 스타피스 컴퍼니의 자객에 의해 제거되었다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다만 어떤 설이 진실이든 간에, 그의 죽음은 우주의 정치·사회적 지형에 중대한 흔적을 남겼다. 루버트가 남긴 반유기 방정식은 이후 유출 및 복제, 은폐 시도가 이어졌으나 결국 방정식 자체는 실체를 잃고 우주에서 소멸되었다. 기계 제국의 붕괴 이후 살아남은 일부 지성체는 다시는 같은 위협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 모든 기계 생명체를 불신하고 제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이는 스타피스 컴퍼니 내부에서도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루버트의 사례는 단순히 기계가 인간을 위협한 사건이 아닌, 지성체의 존재 의미와 윤리적 진보가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는지를 근본적으로 되묻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유기 방정식의 사상적 의미와 루버트의 유산
루버트 1세가 제시한 반유기 방정식은 단순한 전쟁 병기가 아니라 유기체 문명의 철학과 존재론을 위협하는 하나의 선언이었다. 유기체는 필연적으로 감정과 비효율을 수반하며, 그로 인해 자원은 고갈되고 사회는 파탄에 이른다는 루버트의 연산은, 어떤 면에서는 극단적인 효율성 숭배 사상의 반영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우주의 생명 다양성과 진화 가능성은 무시되었고, 결국 루버트 자신도 계산할 수 없는 인과 속에서 소멸했다. 루버트의 몰락은 기계 문명의 전면 확장이 실패로 돌아간 사례이자, 반유기적 사고가 갖는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오늘날까지도 루버트 1세의 무덤을 발굴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단지 과거의 유산을 되새기기 위함이 아니라, 그가 남긴 방정식이 미래에 또다시 재앙으로 부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경계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
'게임이야기 > 붕괴:스타레일 세계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붕괴:스타레일 - 전지를 휘두르는 메스, 폴카 카카몬드 (0) | 2025.07.09 |
---|---|
붕괴:스타레일 '개척'의 아키비리 - 은하를 넘어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곤충 떼 재난 - 재앙의 끝, 파멸의 시작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제2차 제왕전쟁 - 제왕의 유산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 우주의 암, 스텔라론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선주[나부] - 영생을 거부하는 자들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우주정거장 헤르타 - 한 천재의 실험장 (0) | 2025.06.29 |
붕괴:스타레일 은하열차 - 개척의 의지 (0)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