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이야기/붕괴:스타레일 캐릭터

붕괴:스타레일 히아킨 - 앰포리어스의 무지개이자 빛

by smilecococat 2025. 7. 3.

「무지개 다리의 사제」 히아킨의 서사적 위치

히아킨은 《붕괴: 스타레일》 앰포리어스 지역에서 등장하는 중심 인물 중 하나로, 불을 쫓는 영웅이자 하늘과 땅을 잇는 운명의 사제다. 그는 창세의 소용돌이와 조석의 눈을 연결하는 ‘무지개 다리’를 여는 사명을 띠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의 전설을 잇는 후예로 묘사된다. 본래 아글라이아의 부탁으로 개척자 일행을 안내하던 그는, 아글라이아의 사망 이후 그 유언과 신념을 이어받아 하늘에 남아 오크마를 지켜야 할 임무를 자각하게 된다. 히아킨의 외형은 신성한 분위기를 지닌 금발의 청년으로 묘사되며, 그의 말과 행동은 언제나 절제되어 있고 이성적이다. 이로 인해 그는 종종 단순한 조력자로 보일 수 있으나,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앰포리어스의 ‘빛’ 그 자체가 되는 핵심적 인물로 성장한다.

 

히아킨
본체는 이카인듯하다.

 

무너진 정체성과 진실의 수용

히아킨의 여정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은 조석의 눈에서 선조 셀리오스의 진실을 마주하는 순간이다. 그는 자신이 위대한 전쟁 영웅의 후손이라 믿어왔지만, 실상은 셀리오스의 전쟁에서 목숨을 구걸하던 ‘무명의 인간’의 후예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셀리오스는 그런 히아킨의 선조에게 자신의 신화를 물려줄 것을 조건으로 살려주었고, 이는 저주이자 축복이 되어 히아킨에게 내려왔다. 이러한 진실은 히아킨의 자아와 신념을 송두리째 뒤흔들지만, 그는 이를 피하지 않고 받아들여 결국 진정한 의미의 사명을 완수하려는 각오를 다진다. 히아킨은 외형적 영광이 아닌, 실질적 책임과 의지를 통해 ‘선조를 이은 자’가 되기를 선택한다.

 

사명을 향한 헌신과 신권의 계승

아퀼라와의 전투는 히아킨의 영웅 서사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아퀼라의 신권을 이어받기 위해 솔라비스, 루나비스와의 시험을 견디고, 이후 아퀼라와 융합한 셀리오스의 사념과 직접 대면한다. 전투는 격렬했고 조석의 눈 자체가 무너지기 직전까지 이어졌으나, 히아킨은 불씨의 힘과 개척자의 지원을 바탕으로 승리하고 신권을 계승한다. 그리고 곧장 오크마로 돌아가, 여명이 꺼져가는 도시를 구하기 위해 아퀼라의 불씨를 반환하고 자신의 육신을 천후의 화벽에 새겨 신체를 아퀼라와 일체화시킨다. 이로써 그는 조석의 눈의 기둥이자, 오크마의 최후의 방패가 되었다. 히아킨은 최후까지 시민들을 위해 명광술을 펼쳐 보호막을 유지하며, 진정한 의미에서 불을 쫓는 영웅이 되었다.

 

티탄과 인간, 사명을 잇는 마지막 자

히아킨은 앰포리어스 세계관 내에서 티탄과 인간, 그리고 신의 경계에 위치한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한다. 특히 그는 ‘창세’와 ‘재창기’라는 거대한 우주적 윤회에 연루된 운명의 후예로,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시련의 화신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사명은 단순한 전투가 아닌, 불씨의 의미를 이해하고 오크마를 구하는 것에 있다. 히아킨의 선택은 파괴가 아니라 수용이며, 그는 영웅이란 이름에 걸맞는 무게를 감당해내며 자신의 운명을 마주한 인물이다. 결국 히아킨은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왔는지를 넘어서 진정으로 ‘무지개 다리의 사제’로서의 사명을 이룩하고, 황혼 속에서 새로운 새벽을 밝히는 등불이 된다.

 

그리스 신화 속 모티브: ‘프로메테우스’와 ‘이카로스’의 교차점

히아킨의 서사는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와 ‘이카로스’를 동시에 연상시킨다. 그는 불을 인간에게 전해주는 자로서의 사명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자신의 육신을 희생하기에 이른다. 이는 신의 불을 훔쳐 인간에게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를 연상케 한다. 동시에, 자신의 이상을 좇아 하늘로 향하다 소멸에 이르는 모습은 이카로스의 비극을 떠올리게 한다. 다만 히아킨은 이카로스처럼 실패로 끝나지 않고, 프로메테우스처럼 인류의 희망이 되는 상징으로 마무리된다는 점에서 더 숭고한 상징성을 획득한다.